반응형

서울 28

서울시민 도서관 카드 통합 관리 '앱' 서울시민카드 활용기

구립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나는 도서관 별로 고유의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했다. 용산도서관, 구로도서관, 양천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해 각각의 플라스틱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했다. 각양각색의 플라스틱 카드를 발급받아도 정작 사용해야 할 때는 집에 두고 와 짜증을 냈던 기억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지갑 속에 뭉치로 가지고 다니던 플라스틱 카드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대체되면서 도서관 이용이 한층 편리해졌다. 스마트폰은 항상 소지하고 다니기에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도 너무 많아지다 보니 관리하기가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니다. 어떤 앱을 다운로드했는지 깜빡할 때도 많으며 가끔씩 로그인하는 앱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인증하는 데 식은땀을 흘리기도 한다. 서울의 도서관과 다양한 문..

서울시 최초의 수목원~ 테마별로 즐길거리 풍성한 '푸른수목원'​

서울시 서남쪽에 최초로 시립수목원이 들어섰다. 필자는 약 4년 전에 사진을 찍고 싶어서 카메라를 들고 이곳을 방문했던 기억이 있는데 180도 완벽히 변신한 수목원에 감탄이 절로 나왔다. 푸른수목원이 있는 구로구 항동 일대는 서울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어 위치가 좋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그만큼 도심 속에서 보다 더 자연과 가까운 환경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부에서 봤을 때 너무 근사해 보여서 유료로 바꿨는 줄 알았지만 무료시설임에 다시 한번 놀랐다. 입구에 들어서니 푸른수목원의 지도를 통해 내부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적 103,354제곱미터 규모에 시민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꽃나무는 물론 저수지까지 방문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참고로 만약 도시락 등을 챙겨 간다면 정문에 있는 야외탁자에서..

[영화 기생충-서울 촬영 장소] 아카데미상에 빛나는 봉준호 감독의 작품 탐방

아카데미 상에 빛나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당연히 관심이 커질 수밖에 없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이 좋은 시기를 즐기지도 못해 안타깝습니다. 당시 영화촬영 장소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는데 서울에서 찍은 포인트 몇곳을 소개해 봅니다. 자동차로 이동하는 코스를 보면 자하문로에서 출발해 손기정로 두 곳을 방문하는게 좋습니다. 마무리는 노량진에서~! 출발지가 강남쪽이면 반대코스로 이동하면 될 것 같다. 네이버로 검색해 보니 차량이동 시 총 48분이 나오는데 손기정로 두곳은 골목이라서 현실적으로 주차가 불가능할 거 같다. 결국 대중교통이 더 나을 듯 합니다. 1번: 자하문로 계단 (주소: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219) 영화의 폭우 속에서 송강호씨 등이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다. 개인적으로 계단을 사진찍는 거 무척이..

[신형 QR 따릉이 이용후기와 사용법] 대중교통 환승마일리지 안내

따릉 따릉 따릉이가 나가신다. 내가 너무 좋아하는 자전거 따릉이. 근데 이름이 부끄러운 건 나 뿐인가? 웬지 공모를 통해서 정한 이름 같은데 부를 때마다 부끄럽다. 아무튼 서울 따릉이 자전거는 거치대가 계속 늘어나고 이용의 편리성이 증가하면서 저도 애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도난문제를 비롯해 고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신형 QR따릉이가 시범적으로 운영 후 전면 교체될 예정입니다. 최근 신형 QR따릉이를 타본 소감과 이용방법 그리고 대중교통 환승마일리지 적용 등에 대해 정리해 본다. 1- 신형 QR따릉이 대여방법 외형상 큰 변화는 신형 따릉이는 뒷 바퀴에 락이 걸리는 구조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대여가 가능해 졌다. 뒷바퀴 레인커버 부분에 있는 QR코드를 핸드폰 어플로 스캔하면 대여가 된..

1 2 3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