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네이버TV, 네이버블로그, 티스토리 수익채널 운영팁

[미드저니(Midjourney) 사용법과 요금-쉽게 설명] 인공지능 그림~챗지피티보다 활용가치 높다?

포톡 2023. 2. 25. 13:12
반응형

챗지피티가 쏘아 올린 인공지능이 생각보다 강력하다. 막대한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음성인식 비서의 단답형 대화와 단순한 기능실행을 뛰어넘고 있다. 다만 챗지피티와 같은 인공기능 대화형 서비스는 생각보다 효용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다. 필자도 심심할 때마다 챗지피티에게 문의를 하는데 최신 정보를 가져오는 게 한계가 있고 내용도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물론 앞으로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면 더 좋아질 소지도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 챗봇 챗티피티와 같은 서비스보다 훨씬 효용가치가 높은 분야라고 느껴지는 게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것이다. 인공지능 챗봇은 어차피 뉴스와 블로그 같은 데서 소스를 가져오기 때문에 어찌 보면 해당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는데 더 정확하고 빠를 수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을 활용해 이제는 그림까지 그려준다니 신기한 세상이다. 현재 몇몇 회사에서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가운데 나름대로 인기를 얻고 있는 미드저니 사이트 사용방법과 요금 등을 알아봤다.

 

1. 미드저니 홈페이지 방문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그리기 위해 미드저니 홈페이지를 https://www.midjourney.com/home/ 를 방문하자.

미드저니 사이드에 들어가면 예전 메트릭스 느낌의 화면이 나온다. 화면 오른쪽 하단의 조인 더 베타를 클릭하자.

 


2. 회원 가입

Midjourney니 Discord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계정이 있어야 한다.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해 주자. 몇몇 분들은 회원가입을 안 하고 그냥 사용한다고 하는데 필자는 간단히 가입을 마쳤다.

 


3. 뉴비 채널  찾기

미드저니(Midjourney) 공식 서버에 들어왔는데 초보자들이 헤매기 딱 좋게 생겼다.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없는 공간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몇 번만 눈에 익으면 너무 쉽게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미드저니(Midjourney) 사용법과 요금-쉽게 설명] 인공지능 그림~챗지피티보다 활용가치 높다?

 

아래 캡쳐한 사진대로 1, 2, 3번을 순서대로 클릭하자.

 

1. 왼쪽 메뉴의 돛단배 모양을 클릭

2. 왼쪽 사이바에 있는 newbies 채널에서 아무 거나 클릭

3. 하단 대화창에서 본인이 원하는 이미지를 글씨로 설명

 

 

이런 과정을 거쳐서 아주 손쉽게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그럼 인공지능에게 명령할 수 있는 명령어만 하나 알고 있으면 된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

 

[미드저니(Midjourney) 사용법과 요금-쉽게 설명] 인공지능 그림~챗지피티보다 활용가치 높다?


4. 문자로 그림 그리기

하단 대화창에 / 기호를 넣으면 자주 쓰는 메뉴들이 한눈에 보인다. 거기서  /imagine 선택 후 /imagine Prompt 옆에다가 명령어만 넣으면 된다. 본인이 그리고 싶은 명령어를 넣으 Discord에서 Midjourney 봇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 이미지를 생성한다.

 

[미드저니(Midjourney) 사용법과 요금-쉽게 설명] 인공지능 그림~챗지피티보다 활용가치 높다?

6.  작업 처리 기다리기
인공지능이 생각보다 빨리 그림을 그려준다. 기다리는 동안 다른 사람들이 생성한 그림들이 계속 보인다. 이렇게 대화형 창에서 다른 사람들과 그림을 공유하면서 명령어를 내리는 시스템이다.

 


필자는 라이카 카메라와 같은 클래식한 카메라를 그려달라고 명령을 내렸다. 얼추 비슷한 사진들을 단 몇 초 만에 그려줬다.그럼 여기서 한 가지 더 확인할게 그림 밑에 있는 U1 U2 U3 U4와 V1, V2, V3, V4이다.

 

 

U는 해당 그림의 해상도를 더 높여 달라는 명령이다.

V는 해당 그림과 유사한 이미지를 더 그려 달라는 명령이다.

 


필자는 V2를 클릭해서 해당 그림과 그림을 요청했는데 크게 변한 부분은 없는 것 같다. 이미지를 저장하고 싶으면 마우스 우클릭 후 이미지 저장을 누르면 된다.

 


이용요금

마지막으로 이용 요금을 확인해 보자. 무료 이용자들은 약 25개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은 구독료를 지불해야 한다.

 

대화창에 /subscribe라고 적어주면 월 요금내역을 알려준다. 한 달 요금은 8달러, 24달러, 48달러 세 종류인데 이미지 생성양에 따라서 요금이 차별화돼 있는 것 같다.

 

 

만약 일러스트를 매번 수작업으로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획기적인 시스템인 것 같다. 명령어를 구체적으로 기입하면 보다 나은 수준의 그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비전문가들도 상당한 퀄리티의 그림을 얻을 수 있다.

 

필자는 아직까지 구독할 의향은 없지만 만약 그림이 계속 필요하게 되면 구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