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지티피로 인해서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필자도 GhatGPT가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다방면으로 테스트해 보고 있다. 그동안 챗지티피를 이용해 보면서 많은 의구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물론 이제 막 시작단계이지만 챗지티피가 주는 정보가 틀린 게 너무 많다. 그래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지 않은 문답에서는 정말 대단한 답변을 보여준다.
필자가 느끼기에 인공지능 챗봇은 정보제공자보다는 정보제작자에게 더 유용한 듯하다. 아무튼 챗지티피로 인해 검색시장에서 존재감이 없던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무엇보다 검색엔진의 절대강자 구글에서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 챗지티피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바드를 출시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
며칠 전 구글 바드도 한국에서 사용이 가능해졌다. 사용방법과 챗지티피와의 성능을 간단히 비교해 봤다.
구글 바드 사용하는 방법
바드란 구글 AI의 대규모 언어 모델이며 방대한 텍스트 및 코드 데이터 세트로 학습됐다. 사용자의 요청에 답하며 때로는 시와 코드, 대본, 편지 등과 같은 창의적인 텍스트도 생성한다.
1. 구글 검색창에서 '바드'로 검색하자.
구글 검색창을 열고 바드로 검색하자. 제일 위에 바드를 만나보세요~ 클릭!
물론 네이버나 다음에서도 구글 바드로 검색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실험버전 이용
필자는 구글에 로그인이 돼 있어서 그런지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그대로 이용이 가능했다. 시작 전에 바드는 실험 버전임이 안내된다. 구글 바드가 처음 선보일 때 오답을 말하면서 충격파를 주더니 이제는 상당히 몸을 조심하는 듯하다.

3. 검색창에 텍스트 입력
윈도 하단을 보면 채팅창이 있다. 이곳에 본인이 궁금한 걸 입력하면 답해준다. 답변 내용 중에서 추가로 궁금한 건 다시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새로운 대화를 하고 싶다면 왼쪽 메뉴에서 채팅 재설정을 누르면 된다.

잠시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 바드와 챗지티피를 열고 동일한 질문을 해 봤다.
질문은 "한국에서 역대급으로 가장 많이 관람한 영화 순위를 알려줘"라고 물어봤다.
구글 바드는 별도의 멘트 없이 깔끔하게 10개를 꼽아줬다.
영화 | 개봉일 | 누적 관객수 | |
1 | 명량 | 2014년 7월 30일 | 1,767만 명 |
2 | 극한직업 | 2019년 1월 23일 | 1,968만 명 |
3 | 신과함께-죄와 벌 | 2017년 12월 20일 | 1,866만 명 |
4 | 국제시장 | 2014년 12월 17일 | 1,426만 명 |
5 | 7번방의 선물 | 2013년 12월 17일 | 1,254만 명 |
6 | 태극기 휘날리며 | 2004년 7월 20일 | 1,232만 명 |
7 | 암살 | 2015년 7월 22일 | 1,224만 명 |
8 | 겨울왕국 | 2014년 11월 27일 | 1,064만 명 |
9 | 곡성 | 2016년 5월 12일 | 1,030만 명 |
10 | 신과함께-인과 연 | 2018년 8월 15일 | 1,026만 명 |
이어서 챗티피티에도 "한국에서 역대급으로 가장 많이 관람한 영화 순위를 알려줘"라고 물어봤는데 뒤죽박죽 결과가 나왔다. 오류가 있는 듯하여 다시 요청해도 정리가 되지 않았다.
- "명량" (2014) - 17,613,682명
- "신과함께: 죄와 벌" (2017) - 14,410,754명
- "국제시장" (2014) - 14,245,998명
- "베테랑" (2015) - 13,426,776명
- "어벤저스: 엔드게임" (2019) - 13,934,853명
- "괴물" (2006) - 13,019,740명
- "어벤저스: 인피니티 워" (2018) - 11,212,430명
- "도둑들" (2012) - 10,495,100명
- "암살" (2015) - 10,058,553명
- "극한직업" (2019) - 16,264,944명
뭔가 뒤죽박죽 결과가 맞지 않아 한국영화진흥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봤다.
바드가 챗지티피보다는 훨씬 정확하고 깔끔하게 맞추기는 했는데 둘 다 완벽한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못했다. 솔직히 바드가 제시한 데이터는 너무 깔끔해서 맞췄는 줄 알았는데 한국영화진흥위원회 데이터랑 수치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챗지티피는 거의 거짓말에 가까운 답을 해서 아쉽다.

결론~바드 VS 챗지티피
개인적으로 챗지티피와 선점한 인공지능 챗봇시장이기 때문에 바드가 상당히 늦어질 줄 알았다. 그런데 몇번 사용해 보니 바드가 훨씬 깔끔하고 빠르게 답변을 해 줬다.
구글이 원래 기술을 갖고 있는 분야였기 때문에 곧바로 대응한 듯하다. 만약 제공하는 서브스가 비슷하다면 굳이 챗지티피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같다. 물론 두 제품을 조금 더 활용하고 비교해 보면서 추이를 지켜봐야겠다.
'유튜브, 네이버TV, 네이버블로그, 티스토리 수익채널 운영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지티피(ChatGTP) 카카오톡에서 이용방법] 영어번역, 문서요약, 이미지생성 ft. GTP4 사용팁 (0) | 2023.05.28 |
---|---|
[구글 인공지능 그림-AutoDraw] 회원가입 없이 무료로 사용가능 (0) | 2023.05.21 |
[쿠팡 파트너스 수익공개] 한달 매출 1000만원 달성! 내 수익은? ft. 수익발생 기준 (0) | 2023.03.09 |
[로드(로데) TRS to TRRS 케이블-SC7] 갤럭시와 아이폰에 RODE 마이크 연결하는 방법 ft. 마이크 테스트 (1) | 2023.03.01 |
[미드저니(Midjourney) 사용법과 요금-쉽게 설명] 인공지능 그림~챗지피티보다 활용가치 높다?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