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서관 14

금천구 금빛공원 내 '맑은누리 작은도서관' 통유리의 멋진 공간

금천구는 금빛공원 열린광장에 자연과 함께 독서를 즐길 수 있는 ‘맑은누리 작은도서관’을 조성해 재개관했다. 기존 시흥1동 주민센터 청사에 위치했던 ‘맑은누리 작은도서관’은 오는 3월 준공 예정인 금빛공원(금하로 668)의 열린광장으로 이전하며 공원 속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한 것이다.   금빛 공원이 리모델링 공사 중이어서 맑은누리 작은도서관을 찾는 게 다소 헷갈렸다. 공원 안쪽으로 들어가서 오른쪽 방면으로 향하면 맑은누리 작은도서관을 만날 수 있다. 첫눈에 보자마자 대형 통유리가 돋보이는 멋진 건축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은 도서관이라는 명칭이 다소 어색할만큼 자태가 아름답다. 한 면 전체가 통유리창으로 제작된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공원의 푸른 풍경을 감상하며 독서할 수 있는 개방감이 돋보인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북촌, 안국역, 한옥마을 -주차장 추천] 정독도서관 주차요금과 할인방법

딸내미가 스트레이키즈 팝업 스토어를 간다고 해서 토요일 오전, 어쩔 수 없이 차로 이동했다.종로구 휘겸재라는 곳에서 팝업 스토어를 여는데 주변에 마땅히 주차할 곳이 없었다.시내 한복판에 괜히 차를 잘못 세웠다가 주차딱지를 끊을까 봐 마땅할 곳을 찾아봤다. 그러던 중 예전에 몇번 찾아갔었던 정독도서관이 떠올랐다.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정독도서관은 역사와 현대가 이루어진 멋진 곳이다.경복궁, 북촌 한옥마을에서 가까워 독서를 즐기고 서울의 멋을 동시에 만끽할 수 있다.특히 정독도서관은 내부에서 한적하게 거닐 곳도 많은 정말 손에 꼽을 수 있는 곳이다.하지만 이날은 정독도서관에 공부를 하러 간 적이 아니라 주차문제를 해결하고자 방문했다.  정독도서관 주차장은 이런 언덕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가끔씩 주차를 하려고 ..

영등포구 대림동 도서관 '원지공원도서관' 북카페처럼 좋은 공간

아파트 등 인구가 밀집돼 지역은 도서관과 같은 편의시설이 많다. 반면 주택가는 공간의 확보가 쉽지 않아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공 편의시설이 부족할 수 있다. 기존 주택을 리모델링해 최근 지어진 서울 영등포구 원지공원도서관은 주민 생활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시설로 기대된다. 새로운 도서관은 단순한 자료 제공 장소를 넘어 주택가에 부족한 문화적, 교육적, 공동체적 가치를 보완해 주는 핵심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내부시설 둘러보기1층은 커뮤니티공간, 북카페로 꾸며져 있는데 지역 주민든이 언제든 방문해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특징이다.  지식정보뿐만 아니라 서로 만나서 독서모임, 문화강좌, 워크숍 등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이 연결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 같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배치도 눈에..

[DDP 매거진 라이브러리-카페보다 멋진 공간] 위치와 운영시간 ft. 동대문역사박물관 도서관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 공간이다. 물론 내부에 있는 콘텐츠들이 제대로 자리를 못 잡고 매번 헐리고 새로운 게 들어오고 하는 걸 보면 안타까울 때도 있다. 작년에 이곳에 매거진 라이브러리가 들어섰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주변을 지나가다 한번 들어가 봤다. 디자이너를 위한 각종 잡지를 볼 수 있을뿐더러 누구나 방문해서 쉴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꾸며져 있다. 무료로 운영 중이니 마음 편하게 방문해도 될 것 같다. 일단 매거진 라이브러리 장소를 찾는 게 쉽지 않다. 디자인랩 건물 3층에 위치해 있으니 잘 찾아가 보자. 운영시간은 휴일 없이 오전 10에 오픈해 오후 8시에 닫는다. DDP만의 특이한 공간 사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공간 자체가 특이하다. 건축물의 거장인 자하 하디드의 온갖 상상..

[정약용 도서관-다산 신도시] 남양주 가볼만한 곳~ 책과 휴식의 공간

얼마 전에 남양주에 갈 일이 생겼다. 잠시 시간이 비어서 마땅히 갈 곳이 없었는데 얼핏 기억에 정약용 도서관이 생각났다. 오래 있을 건 아니라서 주차장을 이용하지는 않고 주변 공터에 세워 두었다. 다산 신도시에 있는 정약용 도서관에 들어서려고 하는데 생각보다 큰 사이즈에 깜짝 놀랐다. 특히 입구 쪽에도 시민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이 있다. 파라솔이 있는 벤치와 잔디, 그리고 정약용 동상도 볼 수 있다. 사실 서울에서는 이 정도 규모의 도서관이 많지도 않을뿐더러 이렇게 정원까지 갖춘 곳은 드물다. 하긴 남양주에서도 정약용 도서관이 가장 큰 곳이라고 하니 상황은 비슷한 것 같다. 이곳은 일반 도서관이라기보다는 복합문화공간의 콘셉트로 지어졌다. 내부 설계는 스웨덴 스톡홀름 중앙도서관에서 영감을 ..

[김영삼 도서관-동작구 가볼만한곳] 휴식과 배움이 공존하는 멋진 공간

서울에는 참으로 가볼만한곳이 많다.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가 있지만 각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도서관은 우리가 문화생활을 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오늘 소개하고 싶은 곳은 동작구에 있는 구립김영삼 도서관이다. 요즘 새로지은 구립 도서관의 퀄리티가 정말 대단하다. 김영삼 도서관도 한동안 건축물을 짓는 걸 볼 수 있었는데 정말 멋지게 지어졌다. 참고로 김영상 도서관은 동작구 매볼로 1에 위치해 있으며 7호선 상도역 4번 출구에서 255m를 걸어가면 바로 만날 수 있다. 각 층별로 볼거리가 가득하니 한번쯤 방문해 볼만하다. 건물자체가 정말 멋스럽다. 김영삼 도서관은 2011년 DMP(Designcamp MoomPark)의 디자인에 대책된바 있다고 한다. 직육면체의 디자인으로 총 지하주차장을 포함해 총 8층으로 돼..

반응형